[알림]
  • 2025년 3분기 1급 관리자에 대한 투표를 진행 중입니다.
  • Central 스킨에 대한 피드백이 진행 중입니다.
  • 위키(r5 Blame)

    r5
    r3
    1[[분류:위키]]
    2[목차]
    3
    r1
    4== 개요 ==
    r3
    5||<tablebordercolor=#FFF,#1C1D1F><rowbgcolor=#FFF,#1C1D1F> {{{+2 wiki}}} || {{{+2 위키위키}}} ||
    6여러 이용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내용을 기여해나갈 수 있는 사이트들의 통칭.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도 일부 기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7
    8== 장점과 단점 ==
    9=== 장점 ===
    10 1. 집단지성
    r5
    11 * 앞서 언급했듯 반달행위를 저질렀거나, 문서에 욕을 적어두거나, 해당 위키의 규정에 위반되는 행동을 한 게 아니라면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기에 집단지성의 힘이 아주 잘 발휘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4398412|코로나19 발생 초기 당시 마스크 대란으로 인해 마스크 구입에 어려움을 겪던 시민들이 ‘마스크 시민지도’를 가꾸어나갔던 것]]이 그 예이다. --사실 구글에 조금만 찾아봐도 집단지성과 관련한 내용들이 수두룩하게 쏟아져나온다.--
    r3
    12
    13=== 단점 ===
    14 1. 부정확한 정보
    15 * 이것도 앞서 언급했듯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기에 생기는 문제이다.''' [[나무위키 꺼라|위키를 출처로 하는 부정확한 정보에 지친 사람들이 만든 신조어]]까지 있을 정도.
    16 1.#2 높은 진입장벽
    17 * 이는 일부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문제점인데, 위키 문법이 어려울 수도 있고, 나무위키처럼 몇 천 자는 가볍게 뛰어넘는 규정들이 한 두 개도 아닐 경우에는 규정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위키 문법의 경우에는 어떤 분야든 자세하게 파고 들어갈 수록 어려워지는 것은 당연하기에 그 점을 이해하고 보아야 한다. --영어도 ABCD 배울 땐 쉽다가 문법 관련 용어들 나오면 갑자기 난이도 떡상해버리는 것도 같은 이치다.--
    18 * 위키 문법으로 예를 들자면 텍스트를 굵게 만드는 것은 {{{'''(텍스트)'''}}}를, 아랫첨자를 넣는 것은 {{{,,(텍스트),,}}}를 사용하면 되지만, 텍스트 셰도우 효과({{{#!wiki style="display: inline" dark-style="display: none"
    19{{{#!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9px #696FFF; color:#000">이것이 텍스트 셰도우 효과의 예시이다.</span>}}}}}}{{{#!wiki style="display: none" dark-style="display: inline"
    20{{{#!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9px #696FFF; color:#FFF">이것이 텍스트 셰도우 효과의 예시이다.</span>}}}}}})를 넣으려면 HTML 코드를 써야 하는 것도 그 예시.
    21
    22== 종류 ==
    23=== 지향하는 바에 따른 분류 ===
    24==== 백과사전 ====
    r4
    25많은 위키가 백과사전을 지향하고 있지만[* [[위키백과]] 같은 곳이 그 예이다. 백과사전을 지향하는 위키답게 보통 위키와는 다른, 다소 빡빡한 출처 표기 원칙을 두고 있는 것이 특징.], [[나무위키|백과사전을 지향하지 않았는데도 위키 자체의 문서 수와 문서 하나하나의 분량이 많아져 백과사전처럼 변해버린 위키]]도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