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2 vs r3
... ...
13 13
||
14 14
전제 또는 결론 중에서 부분 요소만 지적하는데, A는 논증 전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상황이 어려워진다.
15 15
A의 굵게 표시된 진술에 말문이 막혀 밑줄 친 B의 말처럼 대응을 못 하는 경우가 실전에서 잦다. 이 경우 말다툼까지 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16
||: 가수는 모욕하면 안 돼. 왜냐하면 다 미인이기 때문이야.
17
: 예쁘지 않은 가수는 모욕해도 돼?
18
: 그럼 가수를 모욕해도 되는 거야?||
16
||A: 가수는 모욕하면 안 돼. 왜냐하면 다 미인이기 때문이야.
17
B: 예쁘지 않은 가수는 모욕해도 돼?
18
A: 그럼 가수를 모욕해도 되는 거야?||
19 19
전제를 지적했을 뿐인데 전제와 결론, 논증 전체를 부정하는 것처럼 받아들이는 상황이다. 그 누구도 모욕하면 안 되는 건 맞지만, 그게 예쁘기 때문이란 말은 기준을 내릴 수 없어 틀린 전제이다.
20 20
=== 절대적인 것과 일반적인 것 ===
21 21
절대적인 것은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것을 뜻한다. 일반화는 절대적인 거라고 확신하지 못 해도 절대에 가깝다고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다. 일반과 절대를 구분하자.
... ...
24 24
1. 은근슬쩍 거짓 정보를 끼워넣지는 않는지도 잘 확인하자.
25 25
1. 개념 가, 나가 ㄱ을 공통 원소로 가지고 있을 때, ㄱ가 가 또는 나에만 포함된다고 하는 경우도 오류이다. 예를 들어 수학(교과)을 잘 하는 사람이 수학(학문)을 잘 할 거라 생각하는 오류다.
26 26
1. 무조건 A 아니면 B라는 생각도 오류이다. 예를 들어 갑과 을이 대립한다 가정했을 때, 갑이 틀렸다고 해서 을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27
=== 오류의 분류 오류의 맹점 ===
28
27
=== 오류의 분류 ===
28
특정한 오류가 아래 두 가지에 해당할 수도 있고, 많으면 네 가지에 모두 속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한 가지로 예속시키기 어렵다.
29 29
1. 언어적 오류: 언어를 잘못 써서 일어나는 오류.
30 30
1. 심리적 오류
31 31
1. 귀납적 오류: 가정과 결론의 인과관계가 약하거나 없을 때 일어나는 오류.
32 32
1. 자료적 오류: 자료가 잘못되었을 때 일어나는 오류.
33
== 종류 ==
34
=== 순환 논법 ===
33
== 유형 ==
34
=== ===
35
==== 사람에 호소하는 오류 ====
36
같은 주장이라도 다른 사람이 한다고 해서 그 논증의 진위가 변하지 않는 걸 간과하고, 발화자의 논증 자체가 아닌 발화자의 성격, 재산, 학력, 나이 따위를 근거로 그 논증의 진위를 따지려는 오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7
38
* 길동은 15살이고 영희는 50살이니 연장자인 영희가 한 말이 더 옳다.[* 특히 길동이 맞는 말을 했다면 그렇다.]
39
* 아우야, 너는 어른이 아니고 나는 어른이니 내 말이 옳아.
40
==== 순환 논법 ====
35 41
자기가 주장한 걸 다시 그 근거로 써서 일어나는 오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36 42
37 43
* 사람은 법 앞에서 평등하다. 왜냐하면 사람은 법 앞에서 평등하기 때문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