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3 vs r4
1
[[분류:가공의 국가]][[분류:홍콩]]
2
[목차]
4
== 개요 ==
6
[[홍콩 독립운동]] 이후의 가공 국가 문서이다.
8
== 역사 ==
10
[[1997년]], [[영국]]이 [[아편전쟁]]으로 얻은 [[영국령 홍콩]]을 [[중국]]에게 넘겨주면서 [[홍콩]]은 [[일국양제]]랑 항인치항(홍콩인들이 홍콩을 통치함)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공산당]]이 이를 무시하고 그저 역사의 한 조각이라고 하면서 탄압하자 [[우산 혁명]]과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랑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반대 시위]]까지 일어나는 등, 홍콩은 [[친중파(홍콩)|친중파]]와 [[민주파]] 그리고 [[본토파]]의 서로간 대립으로 불이 번졌다.
12
14
[[2020년]] [[6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홍콩 국가보안법]]이 발효되면서 홍콩은 위기에 빠졌다. 더욱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시위도 금지되자, 중국이 속도를 내어 더 탄압을 하였다.
16
18
'''그러나 코로나 사태가 종료된 이후, 홍콩 시민들은 다시 일어나 맞서 싸웠다.''' 중국공산당 정권이 외국으로부터 비난을 받고 코로나가 끝나자마자 여러가지 요인으로 압력이 들어오면서 결국 인민들에게도 지지받지 못해 [[중국몽]]이고 뭐고 할게 없었다. 이 틈을 노려 [[홍콩 독립운동]] 여론은 날이 갈 수록 거세졌고, 아예 [[홍콩 입법회]]랑 정부청사까지 장악해 버리는 등 마치 [[프랑스 대혁명]] 때의 [[바스티움 궁전]] 점령 때와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이후 홍콩은 중국 분열과 동시에 독립이 되어 완전 자치권과 민주제를 얻는다.
20
== 정치 ==
22
[include(틀:홍콩 공화국 의회의 원내 구성)]
24
[include(틀:홍콩 공화국 지도자)]
26
[[단원제]]랑 [[다당제]]를 계승하였다. 차이점이 있다면, 여당이 [[민주건항협진연맹]](DAB)에서 [[민주당(홍콩)|민주당]]과 연립 여당인 [[공민당]]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이외에도 다른 점이 있는데, 기존 홍콩은 의석이 지역구 20석, 직능 30석, 선거위원회[* 한국으로 비유하면 [[체육관 선거]].] 선출 40석으로 총 90석이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간접민주주의]]를 싫어한 홍콩은 지역구 20석은 그대로 두고, 순수한 [[비례대표제]] 70석으로 바꾸어 내가 원하는 후보를 100% 직선제로 뽑을 수 있게 되었다!
28
30
홍콩 대통령 선거(임기 4년)에서 민주파의 유명인이자 제1세계의 젊은이라고 불리는 [[조슈아 웡(홍콩 공화국)|조슈아 웡]](웡지풍)이 당선되었고, 부통령은 [[우치와이(홍콩 공화국)|우치와이]]가 당선되었다.
1
위대한 jsk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