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마크(비교)
r1 vs r2 | ||
---|---|---|
1 | ||
1 | [[분류:위키]] |
|
2 | [목차] |
|
3 | == 개요 == |
|
4 | [[the seed]]에서 사용하는 문법. 나무위키의 태생이 [[리그베다 위키]]이기 때문에 [[모니위키]]와 문법이 호환된다. 하지만 완전 같지는 않은데, 그 이유는 모니위키의 코드가 많이 더러워서(...) 아예 처음부터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
|
5 | ||
6 | 'namu와 친구들' 중 한 명인 koreapyj가 2015년에 나무마크를 공개하였다. [[https://github.com/koreapyj/php-namumark|#]] 이것을 사용한다면 AGPL 3.0 라이선스에 따라서 공개해야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문법이 많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저 코드를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
|
7 | ||
8 | == 사용 방법 == |
|
9 | [[나무위키]]의 [[https://namu.wiki/w/나무위키:문법 도움말|문법 도움말]] 문서를 참고하거나 [[한마음위키:문법 도움말]] 문서를 참고하자. |
|
10 | ||
11 | == 대체제 == |
|
12 | 유명한 [[위키백과]]에서 사용하는 [[미디어위키]]의 문법은 HTML 문법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 나무마크는 난이도가 적어서 문서를 수정하기 편하다. 이로 인해 다른 엔진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확장 기능 식으로 구현한 사람이 있다. |
|
13 | ||
14 | === 오리마크 === |
|
15 | [[https://github.com/Oriwiki/php-namumark-mediawiki]] |
|
16 | * [[오리위키]]는 [[리브베다 위키]]를 포크한 위키 중 하나였다. 나무위키는 [[the seed|자체 엔진]]을 사용하는 것으로 문법 문제를 해결했으나, 오리위키는 미디어위키 엔진을 사용했기 때문에 문법 호환이 대부분 호환되지 않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오리마크가 탄생하게 된 것. 하지만 문법 100% 호환되지는 않는다. |
|
17 | * koreapyj가 공개한 php-namumark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
18 | * 문서가 20만 바이트를 넘길 경우 깨지는 버그가 있다고 한다. 만약 넘길 경우 문서를 분리하거나 미디어위키 문법으로 치환, [[openNAMU]]로 옮겨야 한다. |
|
19 | * [[오리위키]]가 서비스 종료 되면서 지원도 끝났다. 미디어위키에서 나무마크를 사용하려고 하는 사람은 나무마크(도다 수정)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
|
20 | ||
21 | ==== 나무마크(도다 수정) ==== |
|
22 | [[https://github.com/dodawiki/mediawiki-namumark]] |
|
23 | * 오리마크를 포크해서 지금까지도 유지 보수되고 있다. |
|
24 | * php-namumark가 공개된 지 오래되었기 때문에 folding 문법 같은 최근(?)에 나온 문법은 지원되지 않는다. |
|
25 | * 개발자가 시작 부족 문제, 유지 보수 난이도 등으로 지원이 줄어들거나 끊길 수도 있다. [[https://github.com/dodawiki/mediawiki-namumark/issues/21|#]] |
|
26 | ||
27 | === 오픈나무마크 === |
|
28 | [[openNAMU]]에서 사용되는 문법. folding 문법 등 거의 100% 호환된다. |
|
29 | ||
30 | === TheMark === |
|
31 | [[https://github.com/dercsyong/TheMarkProject]] |
|
32 | * [[더위키]], [[https://github.com/dercsyong/TheWiki|미러 소스]]에서 사용되는 문법이다. folding 문법도 지원되지만 일부가 깨진다. |
|
33 | * 더위키에서는 v1.4.3을 사용 중이지만, 공개된 버전은 v1.4.1이다. 아무래도 사용하는 사람이 없어서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