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8 vs r9
... ...
2 2
[include(틀:위키 엔진)]
3 3
||<-2><tablewidth=400><tablealign=right><tablebordercolor=#ddd,#191919> {{{+1 '''미디어위키'''}}}[br] ||
4 4
||<-2><bgcolor=#fff> [[파일:미디어위키 로고.jpg|width=65%]] ||
5
||<width=30%> '''사이트 종류''' ||<colbgcolor=#fff,#1f2023>[[위키위키]]||
5
||<width=30%> '''소프웨어 종류''' ||<colbgcolor=#fff,#1f2023>[[위키 엔진]]||
6 6
|| '''개설일''' ||[[2002년]] [[1월 25일]] ^^([age(2002-01-25)]주년)^^ ||
7 7
|| '''버전''' ||[[https://m.mediawiki.org/wiki/Release_notes/ko|1.42.1]][*기준 [[2024년]] [[9월 9일]]] ||
8 8
|| '''크기''' ||37MB ||
... ...
31 31
32 32
다른 [[위키 엔진]][* [[모니위키]]나 [[도쿠위키]] 등]보다 매우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특히 분류(Category) 기능은 상당히 유용하게 잘 짜여져있다. 1.2.5 미만의 모니위키의 경우 분류를 하려면 분류용 문서를 따로 만든 뒤 일일이 수동으로 추가해야 되지만,[* 모니위키에도 분류가 있다. 단 분류를 보려면, 역링크를 이용해야 한다. 다만 미디어위키식 분류도 1.2.5에 도입되었다.] 미디어위키는 분류 문서를 만들어 두고 문서 아무데나 대충 "분류:XXX"만 입력해 두면 자동으로 분류된다.
33 33
34
여담으로 설치기에 [[문화어]]가 존재한다.
34
여담으로 설치기에 [[문화어]]가 존재한다. ~~번역 품질은 쓰레기이다~~
35 35
36 36
== 장단점 ==
37 37
=== 장점 ===
... ...
56 56
* 문서를 삭제한 후 해당 문서가 삭제 전엔 어떤 모습이었는지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미디어위키 엔진 특성상 [[기록말살형|'''문서의 역사 기록까지 전부 지워버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삭제 기능은 운영진 전용 기능으로 고정되어 있다.
57 57
* 토론 페이지가 스레드형[* 확장기능이 따로 있다.]이 아니고 일반 문서에 위키문법을 사용한다.--그냥 넣어주면 안되나--
58 58
* PHP 언어를 사용하므로 [[SPA#Single Page Application]]가 지원되지 않는다.
59
* 또한 기본 스킨이 못생겼다. 그래서 (한국 한정) 대체품으로 [[리브레위키]]의 리버티를 많이 쓰는 편. the seed 계열의 리버티랑 디자인이 메우 다르다.
60 60
== 미디어위키를 사용하는 위키 ==
61 61
* '''[[위키백과]]를 포함한 [[위키미디어 재단|위키미디어]] 프로젝트''': [[http://www.wikimedia.org]]
62 62
* '''[[FANDOM]]''': [[https://community.fandom.com/ko/wiki]] - [[FANDOM]]식 미디어위키는 미디어위키를 약간 변형한 것이여서 조금 다르다. 물론 위키 문법 같은 것들에는 딱히 지장은 없다.
... ...
86 86
* 웃참위키: [[https://ootchampedia.miraheze.org]]
87 87
* [[루리위키]]: [[https://wiki.ruliweb.com]]
88 88
* 디비카페: [[http://dbcafe.co.kr]] - Oracle Database 관련 정보 제공
89
* RLCraft의 위키:[[https://rlcraft.wiki.gg/]] - 마인크래프트 하드코어 모드펙의 대명사인 RLCraft가 주제인 위키
90 90
미디어위키의 [[https://www.mediawiki.org/wiki/Sites_using_MediaWiki/ko|미디어위키를 사용하는 사이트]]도 참조.(CC BY-SA 3.0에 따라 기여 가능)
91
92 92
== 기타 기능 ==
93 93
=== 편집 필터 ===
94 94
* 미디어위키에서는 편집 필터(Abusefilter)라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사용자의 조건[* 사용자 이름, 가진 권한, 계정 생성 후 지난 시간 등], 문서의 조건[* 이름공간, 문서 제목, 편집 후 바이트 차이, 문서에 포함된 내용 등], 동작[* 문서 편집, 이동, 삭제 등] 등 각종 주어진 변수와 문법을 이용하여 조건식을 프로그래밍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편집을 저장하는 것을 시도하면 편집 필터가 작동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