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스킨/Central(비교)
r44 vs r45 | ||
---|---|---|
... | ... | |
22 | 22 | * 다시 만든 이유는 끔찍한 Vision의 로딩 속도 때문이다. 특히, 속도제한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더더욱. |
23 | 23 | * 실제로 용량이 많이 줄었다. Liberty(한마음): 1310KB[* 이때는 부트스트랩, 폰트어썸 등을 CDN 따위 쓰지 않고 스킨 파일에 때려박았기 때문에 굉장히 엄청났다.] / Vision: 108KB / Central: 59KB로 Vision에 비해 2배 이상[* 스킨 용량으로 보면 2배가 안되나, CDN으로 불러오는 부트스트랩과 제이쿼리는 제외된 용량이기 때문에 2배 이상이 맞다.]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
24 | 24 | |
25 | === 원본 리버티가 만들어진 시기 === |
|
26 | 리버티 스킨은 리브레 위키의 공식 스킨으로 리브레 스킨을 대체하기 의해 만들어졌다. 그런데 해당 스킨은 만들어진 시기가 2015년이다. 2024년 기준으로 무려 9년이나 된 디자인이다. |
|
27 | ||
28 | 무엇보다 리버티 스킨은 부트스트랩 기반으로 만들어졌는데, 이 스킨은 3.4.1 버전으로 만들어졌다. 2024년 기준 최신 버전은 5.3.3... 즉, 매우 오래된 디자인이라는 것이다. |
|
29 | ||
30 | === 오래돼도 쓸만하면 장땡 아니야? === |
|
31 | 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위키인 나무위키의 기본 스킨인 espejo와 비교하면 많이 오래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얼마 전까지 기본 스킨이었던 senkawa와 비교해도 개인적으로 senkawa가 낫지 않나 싶다. |
|
32 | ||
33 | 그리고 내가 웹 UI/UX를 공부 중이라 더욱 와닿는지는 모르겠지만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많은 웹사이트들이 UI를 개편하였다. 이유는 다양하다. |
|
34 | * 스마트폰의 화면 비율이 16:9에서 4:3과 비슷한 비율도 생기고[* 예를 들면 갤럭시 폴드 펼쳤을 때와 갤럭시 플립5의 외부 화면, LG 윙 서브화면 등이 있겠다.] 18:9, 19.5:9, 21:9 등 화면이 많이 길쭉해지면서 디자인을 손볼 일이 생겼다. |
|
35 | * 브라우저가 좋아지면서 모바일 화면을 따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반응형을 만드는 형식으로 트렌드가 변화하였다. |
|
36 | * 최근들어 생긴 다크모드도 개편 사유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색상을 하나하나 건들다 보면 뜯어고치고 싶을 때가 생긴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다.] |
|
37 | ||
38 | 물론, 부트스트랩 3 버전도 반응형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현재 그냥 사용해도 아무 문제없다. 솔직히 현재 사용하는 Vision도 부트스트랩은 그대로 사용 중이다. |
|
39 | ||
40 | === 결론은 === |
|
41 | > 그냥 써도 되는데 최신 트렌드에 맞춰 보기에 예쁘게 디자인 해보자. |
|
42 | 가 Vision 스킨이 만들어진 계기이며 Liberty 스킨을 버린 계기다. |
|
43 | ||
44 | 44 | === 그래서 바꾼 부분은? === |
45 | 45 | * 리버티는 둥글둥글해서 예쁘긴 하나 옛날 시절의 둥글둥글이다. 그래서 글자 크기에 비해 여백이 적고 라운딩도 작은 것을 여백을 늘리고 라운딩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
46 | 46 | * 폰트어썸을 4 버전을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6 버전까지 출시하였다. 그렇기에 폰트어썸도 업데이트하였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