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2025년 3분기 1급 관리자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 중입니다. Central 스킨에 대한 피드백이 진행 중입니다.
홈서버(비교)
r1 vs r2 | ||
---|---|---|
1 | [[분류:네트워크]] |
|
2 | 2 | [목차] |
3 | ||
4 | 4 | == 개요 == |
5 | '''홈서버'''란, 가정 내에서 만들어져 운영되는 서버를 뜻 |
|
5 | '''홈서버'''란, 가정 내에서 만들어져 운영되는 서버를 뜻한다. |
|
6 | 6 | |
7 | 데이터 센터나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서버를 운영하는 것에 비해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단점이 많지만 학습 목적과 취미로서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축되어 사용될 때가 많 |
|
7 | 데이터 센터나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서버를 운영하는 것에 비해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단점이 많지만 학습 목적과 취미로서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구축되어 사용될 때가 많다. |
|
8 | 8 | |
9 | 일반적으로 모의 해킹, 토렌트, 파일 공유, 미디어 서버, 웹 서버 등의 컴퓨터를 장시간 켜 두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집에서 설치하고 사용하는 특성상 본격적인 서버용 하드웨어보다는 개발보드나 잔존가치가 떨어진 노트북, 저전력 x86-64 프로세서가 장착된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 |
|
9 | 일반적으로 모의 해킹, 토렌트, 파일 공유, 미디어 서버, 웹 서버 등의 컴퓨터를 장시간 켜 두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할 때 사용되며, 집에서 설치하고 사용하는 특성상 본격적인 서버용 하드웨어보다는 개발보드나 잔존가치가 떨어진 노트북, 저전력 x86-64 프로세서가 장착된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잔존 가치가 떨어진 노트북, 구형 PC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구축 비용이 적기에 비용이 부담되는 사람에게 권장한다. |
|
10 | 10 | |
11 | 11 | == 활용 방법 == |
12 | 일반적으로 홈서버는 구축한 당사자가 원하는 활용 방식이 각각 다른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토렌트 클라이언트, 파일 공유 서비스, 웹 서버 같은 서비스들이 주로 사용 |
|
12 | 일반적으로 홈서버는 구축한 당사자가 원하는 활용 방식이 각각 다른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으로 토렌트 클라이언트, 파일 공유 서비스, 웹 서버 같은 서비스들이 주로 사용된다. 물론 사용자가 원한다면 이곳에 서술되지 않았으나 본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얼마든지 구동할 수 있다. |
|
13 | 13 | |
14 | 14 | === 토렌트 === |
15 | 토렌트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인 데스크톱에서 장기간 실행할 경우, 소음과 전력 소모가 문제가 되며, 실행하는 동안 필연적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 |
|
15 | 토렌트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인 데스크톱에서 장기간 실행할 경우, 소음과 전력 소모가 문제가 되며, 실행하는 동안 필연적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만약 장기간 토렌트를 사용해야 하거나, 헤비 유저라면 이러한 문제를 대부분 해결해 줄 수 있는 홈서버가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 단, 홈 서버는 대부분의 경우 데스크톱 PC와 같은 회선을 사용하기에 네트워크 대역폭을 점유하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
|
16 | 16 | |
17 | 보통 크로스 플렛폼을 지원하고 리소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며, Web 인터페이스까지 사용 가능한 '트렌스미션' 프로그램이 자주 사용 |
|
17 | 보통 크로스 플렛폼을 지원하고 리소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하며, Web 인터페이스까지 사용 가능한 '트렌스미션' 프로그램이 자주 사용된다. |
|
18 | ||
18 | 19 | === 웹서버 === |
19 | 홈서버로 집에서 개인 웹사이트도 얼마든지 돌릴 수 있 |
|
20 | 홈서버로 집에서 개인 웹사이트도 얼마든지 돌릴 수 있다. 물론 실시간 접속자가 100명을 넘어가면 제대로 된 서비스 제공은 힘들지만, 그 정도로 웹 페이지에 사람이 몰리는 경우는 흔치 않기 때문에 개인, 혹은 작은 단체가 홈페이지가 필요하다면 홈서버에서 운영할 수 있다. |
|
20 | 21 | |
21 | 참고로, 웹서버로서 사용하는 홈 서버는 반드시 24시간 켜져 있어야 하는 특성 상 집에서 사용하는 홈서버의 경우 저소음으로 구성하거나 소음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공간에 설치 해두 |
|
22 | 참고로, 웹서버로서 사용하는 홈 서버는 반드시 24시간 켜져 있어야 하는 특성 상 집에서 사용하는 홈서버의 경우 저소음으로 구성하거나 소음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공간에 설치 해두는 것을 권장한다. |
|
22 | 23 | |
23 | 24 | === 프록시/VPN === |
24 | 외부에서 가정 내부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혹은 안전한 VPN을 사용하기 위해 홈서버에 VPN서비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 |
|
25 | 외부에서 가정 내부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혹은 안전한 VPN을 사용하기 위해 홈서버에 VPN서비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VPN 만을 위한 홈 서버를 구축할 경우 [[라즈베리 파이]] 같은 개발보드가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자주 사용되며, 보통 인터넷 검열을 회피하기 위해 VPN을 설치하는 경우 해외의 거주지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
|
26 | ||
25 | 27 | === 파일 공유 === |
26 | 파일 공유 서비스는 윈도우에서도 '공유 폴더' 기능을 통해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공유 폴더 기능을 위해 해당 PC는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상당한 리소스를 사용 |
|
28 | 파일 공유 서비스는 윈도우에서도 '공유 폴더' 기능을 통해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공유 폴더 기능을 위해 해당 PC는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상당한 리소스를 사용한다. 홈서버는 24시간 구동되며, 네트워크에 늘 연결되어 있기에 데스크톱에서 사용되는 공유 폴더 기능을 거의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
|
27 | 29 | |
28 | 홈 서버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FTP, SMB가 대표적이며 해당 프로토콜은 오래된 기기에서도 대부분 지원하기에 호환성을 걱정할 필요는 없 |
|
30 | 홈 서버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FTP, SMB가 대표적이며 해당 프로토콜은 오래된 기기에서도 대부분 지원하기에 호환성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단, 파일들의 용량이 큰 경우 홈서버의 저장장치를 넉넉히 증설 해 두는 것을 권장한다. |
|
29 | 31 | |
30 | 32 | == 하드웨어 == |
31 | 홈서버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데스크톱 PC,노트북 부터 스마트폰이나 개발보드같은 다소 독특한 기기들까지 다양한 하드웨어로 구축이 가능하기에 모든 예시를 적기보다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우선적으로 서술 |
|
33 | 홈서버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데스크톱 PC, 노트북 부터 스마트폰이나 개발보드같은 다소 독특한 기기들까지 다양한 하드웨어로 구축이 가능하기에 모든 예시를 적기보다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우선적으로 서술한다. |
|
32 | 34 | |
33 | 35 | === 노트북 === |
34 | 오래된 노트북은 홈 서버용으로 매우 적절한 하드웨어 |
|
36 | 오래된 노트북은 홈 서버용으로 매우 적절한 하드웨어이다. 일반적인 데스크탑 PC와 달리 저전력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전력 소모가 적으며, 차지하는 공간과 소음도 큰 차이가 난다. 만약 집에 남는 구형 노트북이 없더라도 중고 장터에서 배터리가 다 나간 구형 노트북은 매우 저렴하게 팔리기 때문에 그런 노트북을 구매해 홈서버를 구성하는 것도 괜찮다. 단, 분해와 부품 추가가 어렵다는 점은 데스크톱 부품을 이용한 PC에 비해 단점이 될 수 있다. |
|
35 | 37 | |
36 | 만약 구형 노트북을 사용하 |
|
38 | 만약 구형 노트북을 사용하려 한다면, 2.5인치 HDD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SSD로 교체하시는 것을 권장한다. 소음과 전력 소모도 줄어들고, 속도도 훨씬 증가하기 때문이다. |
|
37 | 39 | |
38 | 40 | === 개발보드 === |
39 | [[라즈베리 파이]],오드로이드 등의 다양한 개발보드들은 크기가 작고 소음이 매우 적거나 아예 없기에 집에서 24시간 사용하기에 매우 좋은 선택지 |
|
41 | [[라즈베리 파이]], 오드로이드 등의 다양한 개발보드들은 크기가 작고 소음이 매우 적거나 아예 없기에 집에서 24시간 사용하기에 매우 좋은 선택지이다. 물론 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개발보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기에 새로 구매해야 할 수 있지만, 가격이 5만원부터 10만원 사이 정도이며, 대부분 저전력을 바탕으로[* 5W~15W 가량의 전력 소모가 일반적.] 설계 되어 있기에 금전적인 부담은 덜한 편이다. |
|
40 | 42 | |
41 | ARM 아키텍처의 CPU를 사용하는 개발보드가 많기에, 자신이 사용하려 하는 서비스가 개발보드에서 지원하고, 사양이 부족하지 않은지 철저하게 검토하는 것을 권장 |
|
43 | ARM 아키텍처의 CPU를 사용하는 개발보드가 많기에, 자신이 사용하려 하는 서비스가 개발보드에서 지원하고, 사양이 부족하지 않은지 철저하게 검토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토렌트나 웹서버같이 네트워크의 대역폭이 중요한 서비스를 사용할 계획인 경우,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개발보드를 선택 하시는 것이 좋다. |
|
44 | ||
42 | 45 | ==== 라즈베리 파이 ==== |
43 | '''라즈베리 파이'''는 특유의 가성비를 바탕으로 싱글 보드 컴퓨터 시장에서 점유율이 제일 높 |
|
46 | '''라즈베리 파이'''는 특유의 가성비를 바탕으로 싱글 보드 컴퓨터 시장에서 점유율이 제일 높다. 그렇기에 특정한 기능이 필요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 구글에 한 두번 검색하면 금방 자신에게 최적화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자료가 많으며, 범용성이 매우 높아 대부분의 서비스를 설치할 수 있다. |
|
44 | 47 | |
45 | 비록 다른 하드웨어에 비해 다소 부족한 성능이나 필요한 부속[* 운영체제를 설치할 SD 카드, SD 카드 리더기, 전용 전원 공급 어댑터 등. |
|
48 | 비록 다른 하드웨어에 비해 다소 부족한 성능이나 필요한 부속[* 운영체제를 설치할 SD 카드, SD 카드 리더기, 전용 전원 공급 어댑터 등.]들이 많은 점은 아쉬울 수 있으나, 상술한 장점 덕에 초보자가 홈 서버를 구성 할 경우 늘 권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이다. |
|
46 | 49 | |
47 | 50 | == 소프트웨어 == |
48 | ||
49 | 52 | === 운영체제 === |
50 | 일반적으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 |
|
51 | ||
53 | 일반적으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우분투, 데비안 같이 사용에 라이선스 문제가 없는 운영체제가 안정적일 뿐더러, 서버용으로 사용할 때 쓸만한 자료들이 매우 많기에 더욱 좋다. |
|
54 | ||
55 | === 응용 소프트웨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