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47.27.154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라이트 모드로 전환
로그인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오촌
(편집 요청)
토론
ACL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 개요 == 부모의 사촌형제와의 촌수. == 분류 == === 부모의 사촌형제 === 부모와 그 사촌형제가 어떤 사촌형제인지를 따져 앞에 종/내종/외종/이종을 붙여 부르면 된다. 예를 들면 아버지의 여자 외사촌은 외종고모라고 부르면 되고, 어머니의 여자 친사촌은 종이모/당이모라고 부르면 된다. === 사촌형제의 자녀 === 종질, 오촌조카라고 부른다. 해당 오촌조카를 낳은 본인의 형제가 자신에게 어떤 사촌인지를 따져 '조카' 앞에 붙여 부른다. 해당 조카가 친조카인지 외조카인지 따져야 한다. 예를 들어, 여자 고종사촌의 아들은 고종 외조카, 내종생질 등으로 부른다. === 증조부모의 형제 === 조부모 입장에서 * 고모/고모부면 증대고모/증대고모부 * 큰아버지/큰어머니면 큰증조할아버지/큰증조할머니 * 작은아버지/작은어머니면 작은증조할아버지/작은증조할머니 * 이모/이모부면 증이모할머니/증이모할아버지 * 외숙/외숙모면 증이조할아버지/증이조할머니 이렇게 부른다. 당연하지만 앞에 해당 오촌 증조부모의 형제 되는 자신의 증조부모가 어떤 증조부모인지에 따라 앞에 접두사가 붙는다. 예를 들어 친할머니의 이모는 진외증조할머니의 여형제이므로 진외증이모할머니라고 한다.
im preview
요약
문서에 기여한 것을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
으로 배포하고,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7.27.15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47.27.154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사이드바 설정
기본
숨김
하단 표시
사용자 사이드바 끄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