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13.58.61.17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라이트 모드로 전환
로그인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보조 배터리
(편집 요청)
토론
ACL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RAW 편집
미리보기
[[분류:기술]] [목차] [clearfix] == 개요 == 보조 배터리란, 단일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나 동일한 배터리를 병렬 연결해 다양한 전자기기를 충전하거나 특정한 규격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기입니다. 대형 전자 제품[*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이 소모하는 전류의 양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전류를 저장하므로, 많은 용량의 전기를 저장 후 비상 상황 시 사용할 계획이신 분들께는 다소 부적합 합니다.[* 이런 분들께는 [[UPS]]같은 대안을 권장 드립니다. ] == 역사 == 피쳐폰 시절에는 탈착식 배터리가 주류였던 시기였기에 현재의 위상을 가지지는 못했습니다. 휴대폰의 배터리가 부족하다면, 여러 개의 배터리를 들고 다니면 되었으니까요. 하지만 배터리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스스로 교체하기 힘든, 노트북이나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제품들이 자주 사용되게 되자 필연적으로 내장된 배터리의 용량에 만족하지 못하거나, 배터리가 방전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대비하기 원하는 소비자가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인 보조 배터리 시장은 폭팔적으로 발전해 규모의 경제를 이루어 냈고, 더욱 저렴해지고 더 높은 용량의 보조 배터리가 팔리기 시작했습니다. == 주 사용처 == 사용처는 매우 다양합니다. 출력 단자는 보통 USB Type-A 암 단자, 혹은 Type-C 단자가 주로 사용되어 스마트폰이나 USB 규격으로 충전이 가능한 제품을 충전할 때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 어떤 제품들은 Qi 규격 무선 충전을 지원하거나 220V, 시거잭 까지 지원하는 제품들도 있어 USB 규격으로는 충전, 전력 공급이 불가능 한 제품에게 전력을 공급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외 활동 중 스마트폰이나 다른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크게 소모되었을 때 보조 배터리로 충전한다면,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스마트폰과 다른 전자기기가 겪었을 배터리 수명 감소를 보조 배터리가 겪게 되기에 외출 하실 때 하나 즈음 가지고 다니신다면 훨씬 더 경제적으로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 내장된 배터리를 서비스 센터에서 교체 하려면 보조 배터리의 비용을 뛰어넘는 수리비가 청구됩니다. 단, USB-PD나 타 제품에 흔치 않은 단자를 지원하는 경우 제품마다 독자 규격을 사용하는 것 같은 변수가 있을 수 있어 설명서를 읽고 제품에 대한 정보[* 주로 최대 출력, 관리 방법]를 알아 두시는 것 이 좋습니다. === 노후된 보조 배터리의 사용처 === 배터리의 노후는 필연적입니다. 낡은 배터리는 순간 최대 방전량 과 용량이 상당히 줄어들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하지만 노후된 제품들도 쓸 곳은 있습니다. 물론 스마트폰을 고속 충전하는 수준의 재활용까지는 힘들 수 있지만, 전력을 적게 소모하거나 USB 규격으로 전류를 받아 사용하는 USB 선풍기나 장식품, LED 점등 같은 활용처도 있으니 낡은 보조 배터리가 있고 흥미, 학습 목적으로 사용해보려 하신다면 이런 활용처도 괜찮은 선택지가 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알아두면 좋은 것들 == * 보조 배터리는 대부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특성상, 폭팔, 혹은 발화 가능성이 있어 비행기에서 제한 하는 경우가 많기에 비행기에 탑승하실 때 항공사의 배터리 관련 규정을 참고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예를 들어, '캐세이 퍼시픽 항공'의 경우 본래 소매 포장에 밀봉하거나 비닐백, 보호 주머니에 보관하는 것 같은 합선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한 뒤 반드시 '''위탁 수하물'''로 챙겨야 합니다.[* [[https://www.cathaypacific.com/cx/ko_KR/baggage/controlled-and-banned-items/lithium-batteries.html|캐세이 퍼시픽 항공 수하물 제한 및 금지 품목 ]] ] *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서 보관하실 때에는 보조 배터리의 단자 부분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금속 물체가 닿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되도록 보조 배터리가 들어가는 주머니나 가방 안에는 금속제 물질을 사전에 제거 해두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 통상적으로 '배터리 스웰링' 이라고 말하는 현상]이 발생해 케이스에 손상이 가거나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는 것이 발견 될 경우, 적절한 폐기 방법[* 일반적으로, 배선을 임의로 분리하지 않고 폐전지 수거함에 넣으면 됩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109066500530|연합뉴스: 보조배터리 버릴 땐 폐전지류 전용수거함에…분리배출 홍보 강화]] ]을 통해 바로 폐기 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만약 어떠한 사정이 있어 바로 폐기 하실 수 없다면, 서늘하고 습기가 없는 곳 에 보관하신 뒤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폐기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절대 배터리에 구멍을 내시거나, 날카로운 것으로 찌르지 말아주세요.
im preview
요약
문서에 기여한 것을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
으로 배포하고,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3.58.61.176)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13.58.61.17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사이드바 설정
기본
숨김
하단 표시
사용자 사이드바 끄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