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다올위키 (r91)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공식
ONTS
일반
남갤위키
로미위키
먼지위키
밀양위키
소나위키(수정)
학교
GBSWiki(수정)
외대부고 위키
개인
1392위키(수정)
광토리의 백과사전
루나위키
모래위키
(수정): openNAMU 수정한 버전을 사용하는 위키
단독 문서가 없는 위키는 openNAMU/사용 위키 문서를 참고하세요.
다올위키
daolwiki
파일:다올 로고2.svg
사용 언어
사이트 종류
위키 엔진
위키 문법
설립일
2023년 11월 1일 (D+459)
설립자
가입 필요 여부
선택
광고 여부
있음
문서 수
770개
라이선스
CC BY-SA 4.0[1]
현재 상태
운영 중
1. 개요2. 역사
2.1. 한마음위키 시절2.2. 다올위키 현재
3. 특징
3.1. 서버 관련 잡담3.2. 상징
4. 문법5. 문제점6. 사건 · 사고
6.1. 데이터 일부 소실 사건
7. 외부 링크8. 하위 문서

1. 개요[편집]

openNAMU를 사용하여 광토리가 만든 위키.

2. 역사[편집]

2.1. 한마음위키 시절[편집]

한마음위키
onemindwiki
파일:한마음위키 로고.svg
슬로건
한마음 한뜻으로 만드는 지식 도서관!
사용 언어
사이트 종류
위키 엔진
위키 문법
설립일
2021년 7월 14일 (D+1299)
설립자
가입 필요 여부
선택
광고 여부
있음
라이선스
CC BY-SA 4.0
현재 상태
운영 중
  • 2021년 5월 16일: 미디어위키 + 오리마크로 베타 테스트 시작.[2]
  • 2021년 6월 8일: 접기 문법 등 안되는 문법들이 많아서 openNAMU로 변경.[3]
  • 2021년 7월 13일: 베타 때 쓰던 DB 삭제 후, 정식 오픈 준비.
  • 2021년 7월 14일: 정식 오픈.[4]
  • 2021년 8월 1일: CCL을 CC-BY-NC-SA 2.0 KR에서 CC BY-NC-SA 4.0으로 변경했다.
  • 2021년 11월 9일: 서버를 한국으로 이전하고 CCL을 CC BY-SA 4.0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DB를 초기화했다. 주제는 교통에서 종합으로 변경하였다.
  • 2022년 1월 31일: 도메인이 onemindwiki.pw에서 onemindwiki.kr로 변경되었다.
    • 베타 사이트도 개설했었으나 얼마 뒤에 닫았다.
  • 2023년 4월 17일: 위키 고유 디자인이 개선되었다.[5]
  • 2023년 5월 15일: 2023년 개편으로 위키 주제를 개인 위키로 변경하였고, 도메인을 변경하였다.[6] 또한 기본 ACL을 admin을 상향하였다.
  • 2023년 8월 20일: 기본 ACL을 30_day로 하향하고, 가입 불가에서 가입할 수 있게 제한을 대폭 완화하였다.

2.2. 다올위키 현재[편집]

  • 2023년 10월 21일: 한마음위키를 다올위키로 위키 이름을 바꾸면서 도메인을 변경하였다.[7] 또, 위키 주제를 잡학 위키로 다시 변경하였다.
  • 2023년 11월 중반: 캡챠 문제가 해결되었다.
  • 2024년 1월 6일: 기본 스킨이 Liberty[8]에서 Vision[9]으로 변경되었다.
  • 2024년 2월 말: 기본 ACL 설정을 normal로 대폭 완화하고 User Agent 저장 기간을 무기한에서 1년으로 변경되었다.

3. 특징[편집]

  • 규정이 매우 간단하다. 어디와 차원이 다르다.
  • 다중 라이선스를 사용한다.
  • 한마음위키 시절의 틀 디자인은 나무위키의 틀 디자인과 알파위키의 틀 디자인이 섞인 모습이였다.
  • 위키를 만든 목적은 소유자가 웹 공부할 겸 만들었다.
  • 개인 위키로 전향했을 때가 있었다.
  • 알파위키처럼 적당한 유머가 있으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위키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하지만 알파위키도 제로 베이스를 하면서 이 위키에 올 일이 없어졌다.
  • 위키 설립 목적이 공부였기 때문에 홍보를 안했다. 덕분에 이 위키의 존재를 아는 사람은 극소수.
  • 웹 공부 목적으로 연 위키이기 때문에 홈 서버나 다른 VPS로 이전한 횟수가 꽤 많다. 서버 관련된 내용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자.
  • 사용하는 브랜치는 beta이다.
    • 과거에는 버그 수정이나 신기능을 빨리 사용하고자 dev를 사용하였지만, dev와 비슷한 업데이트 주기로 바뀌고, 만들다만 것도 올라오는 브랜치기 때문에 변경하였다.
    • 애초에 쓰지 말라고 만든 브랜치인데 썼다. 하지만 버그 패치를 위해 dev를 썼는 걸...
  • 사실 다올위키로 전향할 생각까지는 없었다.
    • 한마음위키[10], 새로운 위키[11] 이런 식으로 이원화하려고 했으나 새로운 위키에 관심이 없어서 거의 방치하다 싶이 하였다.
    • 그래서 이럴바에는 2개를 합치자 생각한 것의 결과가 다올위키인 것이다.
    • 이제와서 밝히는 것이지만 열려고 시도한 위키의 이름은 한빛위키, 솔라위키이다.

3.1. 서버 관련 잡담[편집]

기간은 자세히 기억이 안 나기 때문에 기간은 서술하지 않으며, 현재 사용 중인 기기는 굵은 글씨로 서술한다.
  • Vultr Regular Cloud Compute
    • 5.5달러 요금제[12]
    • 11달러 요금제[13]
  • Oracle Cloud Free Tier
  • 홈 서버
,TMI 1: N95는 평균 전력 소비량이 스마트폰 충전기보다 적은 10W이기 때문에 서버로 쓰기에 아주 좋다.,
,TMI 2: OS로는 현재는 Ubuntu를 사용하고 있지만 몇달 전까지만 해도 Windows + WSL2 조합으로 사용하였다. 원격이나 서버 이외에 다른 작업하기에는 Windows만한 것이 없기 때문에 아주 좋다.,

3.2. 상징[편집]

파일:한마음위키 로고.svg
파일:한마음위키 캐릭터.png
로고
마스코트
한마음위키 시절 상징

파일:다올 아이콘.png
파일:다올 로고2.svg
2023/11/01 ~ 2024/12/09
1세대 로고
2024/12/09 ~
2세대 로고
다올위키 현재

4. 문법[편집]

5. 문제점[편집]

  • 소유자가 문서를 만들 의지가 없다. 의외로 반달은 잘 잡는다.

6. 사건 · 사고[편집]

6.1. 데이터 일부 소실 사건[편집]

2022년 3월 9일, 서버에 이상이 생겨서 초기화를 진행했는데 운영자가 DB 파일 일부만 백업한 엄청난 실수를 저질렀다. 그 결과로 3월 4일 ~ 3월 9일 데이터가 소실되었다. 저 기간동안 편집된 문서는 매우 적었기 때문에 엄청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소실시킨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대문에 사과글을 올려두었다. #

7. 외부 링크[편집]

8. 하위 문서[편집]

[1] 기본은 CC BY-SA 4.0이나 다중 라이선스 사용[2] 닷홈의 무료 호스팅을 이용했다.[3] Pythonanywhere의 무료 호스팅을 이용했다.[4] 서버 위치는 일본.[5] 알림창 디자인 등.[6] onemindwiki.kr → onemind.gwto.cc[7] onemind.gwto.cc → wiki.daol.cc[8] Gwangtori 수정 버전[9] Liberty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킨. 자세한 정보는 이쪽으로.[10] 나무위키와는 다른 라이선스인 제로베이스 위키[11] 나무위키 등에서 포크 가능한 새로운 다중 라이선스 위키[12] 1 vCPU, RAM 1GB, SSD 25GB[13] 1 vCPU, RAM 2GB, SSD 50GB[14] 1 vCPU, 1GB RAM, SSD 100GB[15] 4 vCPU, 24GB RAM, SSD 100GB[16] i5-5200U, 8GB RAM, SSD 500GB[17] Ryzen 5 3500U, 8GB RAM, M.2 128GB[18] N95, 16GB RAM, M.2 512GB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