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UUID (r2)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1. 개요2. 구성3. 버전4. 기타5. the seed에서

1. 개요[편집]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고유 식별자 표준이다.

2. 구성[편집]

8a463aa4-b1dc-4f27-9c3f-53b94dc45e74
UUID 버전 4 예시
128비트 형식으로 16진수 32개와 4개의 하이픈(-)을 조합한 8-4-4-4-12의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에 있는 볼드체는 UUID 버전을 의미한다.

3. 버전[편집]

버전 1부터 8까지 존재하며 버전 별로 생성 방식이 다르다. 가장 흔히 쓰이는 버전 4는 무작위 생성 방식을 가지고 있다.
  • 버전 1: MAC 주소와 타임스탬프를 사용해 고유성을 보장하는 UUID로, 생성 시점과 장치 정보를 포함한다.
  • 버전 2: DCE 보안 목적의 UUID로,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구현체에서 생략된다.
  • 버전 3: 128비트의 MD5 해시 함수를 사용해 네임스페이스와 이름으로부터 결정론적으로 UUID를 생성한다.
  • 버전 4: 완전히 무작위로 생성되는 UUID로, 122비트를 랜덤하게 채워 매우 높은 고유성을 제공한다. the seed에서 채용한 버전의 UUID이다.
  • 버전 5: 160비트의 SHA-1 해시 함수를 사용해 버전 3과 유사하게 작동하지만, 더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을 채택한다.
  • 버전 6: 버전 1과 구조는 동일하나, 타임스탬프 비트 순서를 개선해 정렬과 색인이 용이하다.
  • 버전 7: 밀리초 정밀도 타임스탬프와 랜덤 데이터를 결합해 분산 시스템의 키 생성에 최적화된 UUID이다.
  • 버전 8: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UUID로, 최소한의 버전/변형 제약만 존재한다.

4. 기타[편집]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으로 구성된 Nil/Empty UUID 포맷이 존재한다.

5. the seed에서[편집]

the seed에서는 계정 변경/삭제 기능이 생긴 후 도입되었으며, 계정 사용자는 계정 생성 즉시, IP 사용자는 최초 활동 즉시 자동 할당된다. IP 사용자의 경우 사람 모양 클릭 시 기여 내역이 없다면 문서/토론 기여 목록 탭이 뜨지 않지만, UUID 할당 이후 해당 페이지로 연결되는 탭이 보인다.

여담으로 아이피로 어떤 문서를 편집한 후 1시간 내에 이 기여를 로그인한 사용자로 이전한다 해도 해당 IP에 할당된 UUID는 그대로 유지된다.

문서를 편집할 때마다 생성되는 각 리비전에도 UUID가 부여되며, 각 리비전의 문서 링크도 기존 리비전 넘버에서 UUID로 바뀌었다. 더시드위키, 알파위키, 위브위키에서는 기존 리비전 형식의 링크를 입력해도 최신 판의 문서만 열람 가능하나 나무위키에서는 넘겨주기 처리가 가능하도록 커스텀 패치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서 가져옴




* 이 문서는 나무위키 UUIDr37에서 일부를 가져왔어요. 기여자 확인
* 이 문서는 CC BY-NC-SA 4.0 라이선스로 배포됨을 별도로 명시합니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