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분류
1. 개요[편집]
홍콩 민주화 운동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계파.
2. 상세[편집]
이들은 홍콩 독립보다는 일국양제(One country two system)을 지향하고 홍콩인들이 홍콩을 자치적으로 통치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한다. 때문에 본토파랑 충돌이 일어난다.
3. 선거 참여[편집]
국가보안법 시행 및 선거법 개정 이전까지는 나름 의석을 먹고 들어가는 편이었다. 특히 우산 혁명 이후 입법회 및 구의회 선거에서 다수 의석을 보유했으며, 2019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서는 아예 479석 중 388석을 가져가는 초압승을 보였다.
그러나 국가보안법과 선거법 개정 이후로는 갈갈이 찢겨나갔다. 정당 및 시민단체는 경찰에 의해 해산되거나 자진 해산되고, 데모시스토 같이 영향력이 있던 단체에선 조슈아 웡(黃之峰)과 아그네스 차우(周庭)이 체포되는 등 해체쇼가 이루어졌다.
2023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는 참여 자체가 금지되었다. 홍콩 민주당이 공천을 하였으나 무의미해졌다.
2021년 홍콩 입법위원 선거 때는 그나마 민주파와 성향이 같은 제3당(新思維)의 틱치위안(Tik Chi-yuen)이 간선제 선거구인 사회복지업계(Social Welfare)에서 당선되었으나 민주파는 더 이상 활동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보안법과 선거법 개정 이후로는 갈갈이 찢겨나갔다. 정당 및 시민단체는 경찰에 의해 해산되거나 자진 해산되고, 데모시스토 같이 영향력이 있던 단체에선 조슈아 웡(黃之峰)과 아그네스 차우(周庭)이 체포되는 등 해체쇼가 이루어졌다.
2023년 홍콩 구의회 선거에는 참여 자체가 금지되었다. 홍콩 민주당이 공천을 하였으나 무의미해졌다.
2021년 홍콩 입법위원 선거 때는 그나마 민주파와 성향이 같은 제3당(新思維)의 틱치위안(Tik Chi-yuen)이 간선제 선거구인 사회복지업계(Social Welfare)에서 당선되었으나 민주파는 더 이상 활동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