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위키/스킨/Central (r33)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위키/스킨

음영 표시: 업데이트가 중단된 스킨

1. 개요2. 하위 문서3. 사용 위키

1. 개요[편집]

파일:Central PC.png
파일:Central Phone.png
PC 버전
Mobile 버전
Central 스킨 스크린샷 (v3.4)
사진을 눌러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다올위키의 기본 스킨인 Vision 스킨의 후속작이며, 2024년 12월 2일부터 대체되었다.
  • 초기 계획안은 Vision 스킨의 v3로 버전을 높일 예정이였으나, 생각보다 큰 스케일이라 스킨 이름까지 변경하였다.
    • 그 덕에 스킨 이름이 바뀔 때마다 버전 1씩 올라가는 규칙이 생겼다. (Liberty: v1, Vision: v2, Central: v3)
  • 클로즈드 소스이며, 공개할 계획은 없다. 간접적인 이유는 이곳을 참고.
  • 부트스트랩을 버리고 제로 베이스로 새롭게 만든 스킨이다.
    • 다시 만든 이유는 끔찍한 Vision의 로딩 속도 때문이다. 특히, 속도제한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더더욱.
    • 실제로 용량이 많이 줄었다. Liberty(한마음): 1310KB[1] / Vision: 108KB / Central: 59KB로 Vision에 비해 2배 이상[2]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 Vision과 큰 차이는 없지만 소소하게 다른 점이 많다.
  • 해당 스킨은 openNAMU의 다국어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설정에서 영어로 설정해도 한국어로 나오는 부분이 있다.
  • 스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상단바
      • 상단바 높이를 좀 더 늘렸다.
      • PC 같이 넓은 화면에서는 검색 창이 더 넓게 표시된다.
      • 상단바 공지에 Wikive 전체 공지가 있다면 표시된다.[전체공지]
    • 상단바 드롭다운 부분
      • 라이트 / 다크 테마 전환 토글[4]
      • 위 아래 간격을 좀 더 넓혔다.
      • 애니메이션이 세련되게 바뀌었다(?)
      • 알림 드롭다운이 추가되었다.
    • 본문
      • 둥근 테두리를 본문에도 추가하여 사이드바와 통일성을 더했다.[5]
      • 글자 크기를 the seed 신스킨과 통일하기 위해 14.4px에서 15px로 조정하였다.
      • 사이드바 높이보다 본문이 짧아도 사이드바 길이와 같게 표시된다.
      • 배경 색도 더 밝게 조정하였다.
    • 사이드바
      • 사용자 정보 부분에 레벨을 추가하였다.
      • 절대 시간으로 표기되던 것을 상대 시간으로 표기된다.
      • 목차를 추가하였다.[6]
      • 목차와 광고가 스크롤해도 따라온다.

2. 하위 문서[편집]

  • openNAMU: [[위키/스킨/Central(openNAMU)]
  • the tree: [[위키/스킨/Central(the tree)]

3. 사용 위키[편집]

[1] 이때는 부트스트랩, 폰트어썸 등을 CDN 따위 쓰지 않고 스킨 파일에 때려박았기 때문에 굉장히 엄청났다.[2] 스킨 용량으로 보면 2배가 안되나, CDN으로 불러오는 부트스트랩과 제이쿼리는 제외된 용량이기 때문에 2배 이상이 맞다.[전체공지] 서버 점검같이 Wikive 사용 위키가 동시에 닫힐 일이 있을 경우에 사용하기 위함이다.[4] 사용자 정보 드롭다운에 존재하며 openNAMU 다크 테마 특성상 새로고침되며 적용된다.[5] PC만 적용된다.[6] 목차가 없는 페이지는 표시되지 않는다.[기본] 7.1 7.2 7.3 7.4 7.5 7.6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