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육촌 (r2)

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
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1. 설명2. 분류
2.1. 형제2.2. 조부모의 사촌형제2.3. 사촌형제의 손자

1. 설명[편집]

촌수가 6인 친척.

2. 분류[편집]

오촌 문서를 먼저 참조하라.

2.1. 형제[편집]

호칭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들의 통칭이 재종형제이다.
  1. 당고모 자녀이면 앞에 내, 당숙 자녀이면 앞에 진, 당이모 자녀이면 앞에 이, 외당숙 자녀이면 맨 앞에 외자를 붙이고,
  2. 본인의 부모 기준으로 본인의 부모의 사촌이 되는 해당 육촌 형제의 부모가 고종사촌이면 그 다음에 접사로 내, 이종사촌이면 앞에 이, 외사촌이면 앞에 외자를 재종형제 앞에 붙인다.

예시: 어머니의 고종사촌 남자 형제의 자녀는 본인의 외삼촌의 자녀이므로 앞에 외 자를 붙이고, 해당 외삼촌이 본인의 어머니의 고종사촌이니 내 자를 붙여여 외내재종형제라고 한다.
예시2: 아버지의 이종사촌 형제의 자녀는 본인의 친당숙의 자녀이므로 앞에 진 자를 붙이고, 해당 당숙이 본인의 아버지의 이종사촌이니 진이재종형제라고도 한다.

2.2. 조부모의 사촌형제[편집]

  • 재종조부: 조부모의 남자 사촌.
  • 재존고모: 부모의 오촌고모.
  • 재존이모: 부모의 오촌이모.

더 자세한 호칭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친할머니 사촌이면 앞에 진외-, 외할머니 사촌이면 앞에 외외, 외할아버지 사촌이면 앞에 외 자가 뒤의 증 자와 함께 붙는다.
  2. 해당 육촌조부모가 본인의 조부모에게 어떤 사촌인지에 따라 그 다음에 접사가 붙는다.

예시: 외할아버지의 여자 고종사촌은 외할아버지 사촌이므로 앞에 외, 할아버지의 여자 내종사촌이므로 외증내재존고모라 한다.

2.3. 사촌형제의 손자[편집]

위의 방식과 비슷하게 부르면 된다. 예를 들어 여자 고종사촌의 외손자는 내외재종손이 된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