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 OR geoip:KR(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분류
1. 개요[편집]
wiki | 위키위키 |
여러 이용자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내용을 기여해나갈 수 있는 사이트들의 통칭.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도 일부 기입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2. 장점과 단점[편집]
2.1. 장점[편집]
- 집단지성
- 앞서 언급했듯 반달행위를 저질렀거나, 문서에 욕을 적어두거나, 해당 위키의 규정에 위반되는 행동을 한 게 아니라면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기에 집단지성의 힘이 아주 잘 발휘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코로나19 발생 초기 당시 마스크 대란으로 인해 마스크 구입에 어려움을 겪던 시민들이 ‘마스크 시민지도’를 가꾸어나갔던 것이 그 예이다.
사실 구글에 조금만 찾아봐도 집단지성과 관련한 내용들이 수두룩하게 쏟아져나온다.
2.2. 단점[편집]
- 부정확한 정보
- 이것도 앞서 언급했듯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기에 생기는 문제이다. 위키를 출처로 하는 부정확한 정보에 지친 사람들이 만든 신조어까지 있을 정도.
- 높은 진입장벽
- 이는 일부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문제점인데, 위키 문법이 어려울 수도 있고, 나무위키처럼 몇 천 자는 가볍게 뛰어넘는 규정들이 한 두 개도 아닐 경우에는 규정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미디어위키 엔진이 특히 어렵다. 하지만, 위키 문법의 경우에는 어떤 분야든 자세하게 파고 들어갈 수록 어려워지는 것은 당연하기에 그 점을 이해하고 보아야 한다.
영어도 ABCD 배울 땐 쉽다가 문법 관련 용어들 나오면 갑자기 난이도 떡상해버리는 것도 같은 이치다.- 위키 문법으로 예를 들자면 텍스트를 굵게 만드는 것은
'''(텍스트)'''
를, 아랫첨자를 넣는 것은,,(텍스트),,
를 사용하면 되지만, 텍스트 셰도우 효과(이것이 텍스트 셰도우 효과의 예시이다.)를 넣으려면 HTML 코드를 써야 하는 것도 그 예시.
3. 종류[편집]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